생각 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생각 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5) N
    • 공지 (0)
    • 종목들여다보기 (22) N
      • 기술적 분석 (1) N
    • 주식 이야기 (14) N
      • 공부합시다 (2)
      • 소소한 이야기 (12) N
    • 인물 (4)
    • 주식시황 (5) N

검색 레이어

생각 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반응형

주식 이야기/소소한 이야기

  •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4

    2025.05.12 by 쵸벌

  •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3

    2025.05.10 by 쵸벌

  •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2

    2025.05.08 by 쵸벌

  •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1

    2025.05.08 by 쵸벌

반응형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4

📘 Chapter_04. 탄소배출권 산업, 앞으로 어디로 가는가?Chapte_03 요약지난 글에서는 탄소배출권 산업을 투자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감축 실적이 ‘전략’이 아니라 ‘성과’로 나타나는 기업배출권을 비용이 아닌 수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CBAM, ESG 공시 등 정책 연계성과 무역 대응력그리고 무엇보다 탄소를 다루는 내부 기술력과 회계 구조또한 탄소 관련 투자 리스크를 세 가지로 구분해 설명했습니다:정책 변화에 대한 민감성배출권 가격의 급등락과잉 프리미엄을 낳는 ‘그린 마케팅’이전 글 보러가기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3📘 Chapter_03. 투자자들은 탄소배출권 산업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Chapter_02 요약지난 Chapter_02에..

주식 이야기/소소한 이야기 2025. 5. 12. 09:33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3

📘 Chapter_03. 투자자들은 탄소배출권 산업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Chapter_02 요약지난 Chapter_02에서는 유럽과 미국의 탄소 정책이 얼마나 다른 구조와 철학을 갖고 움직이는지,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미국이 기후정책에서 보이는 회귀적 움직임을 짚었습니다.또한 한국의 ETS가 가진 제도적 한계와 규제-보상 사이에서의 전략적 선택지를 진단했습니다.유럽: 강력한 규제를 통한 총량 감축 + 글로벌 확산 (CBAM)미국: 기술 중심 보조금 모델 → 2025년 이후 정책 불확실성 확대한국: 제도는 있으나, 실질 유인이 부족한 '절반의 ETS' 상태 이전 글 보러가기(먼저 보고오세요)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2📘 Chapter_02. 탄소 정책, 세계는..

주식 이야기/소소한 이야기 2025. 5. 10. 13:53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2

📘 Chapter_02. 탄소 정책,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Chapter_01 요약앞선 글에서는 탄소배출권이 무엇이며,왜 지금 그 시장이 구조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탄소는 이제 도덕이 아닌 숫자, 선택이 아닌 비용배출권은 하나의 거래 가능한 자산으로 금융 시장에 편입탄소 감축은 기업의 생존 전략이며,곧 기술, 수출, 투자, 재무제표의 흐름까지 바꾸는 변수이제는 한 국가의 정책만으로 이 시장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글로벌 규제와 제도의 차이를 읽어야 산업과 기업을 분석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지난 글 Chapter_01 보러가기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 Chapter_01. 탄소배출권 산업, 왜 지금 주목받는가?왜 지금, 나는 ‘탄소배출권 산업’을 이야기하는가?..

주식 이야기/소소한 이야기 2025. 5. 8. 22:59

탄소배출권 산업, 왜 주목해야 하나?-Chapter_01

📘 Chapter_01. 탄소배출권 산업, 왜 지금 주목받는가?왜 지금, 나는 ‘탄소배출권 산업’을 이야기하는가?최근 들어 유난히 자주 듣는 말이 있습니다.“탄소가 돈이 된다”, “공기에도 가격이 붙었다”, “탄소 배출이 곧 세금이다.”처음엔 다소 과장처럼 느껴졌지만, 어느 순간 깨달았습니다.이건 단순한 친환경 트렌드가 아니라, 산업의 방향을 바꾸는 흐름이라는 걸.글을 쓰기 전, 한 가지 질문을 던져봤습니다.“앞으로 10년 동안, 가장 구조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시장은 뭘까?”그리고 그 답을 탄소배출권 산업에서 찾게 됐습니다.기후 위기라는 명분 위에, 규제와 돈이 얹어졌습니다.이제 탄소는 도덕이 아니라 숫자가 되었고,감축은 환경이 아니라 비즈니스가 되었습니다.그래서 이 글은 단순한 정보 나열이 아닙니..

주식 이야기/소소한 이야기 2025. 5. 8. 07: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커플 봄 여행지 추천 BEST5

  • 향긋한 계절의 맛, 쪽파이야기

  • 2025웰빙 식품 트렌드 완전정리

    생각 노트
    쵸벌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생각 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